교과목소개
민요 1,2,3,4 (Folk song)
한국의 민요는 대개 같은 가락의 사설을 바꾸어 부르는 유절형식(有節形式)이 많고 흔히 후렴이 붙는다. 또 그 전파범위와 세련도에 따라 토속민요와 창민요(唱民謠:通俗民謠)로 구분한다. 토속민요는 어느 국한된 지방에서 불리는 것으로 사설이나 가락이 극히 소박하고 향토적이다. 김매기 ·모내기 ·상여소리 ·집터 다지는 소리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는 달리 창민요는 흔히 직업직인 소리꾼에 의하여 불리는 세련되고 널리 전파된 민요로서 육자배기 ·수심가 ·창부타령 ·강원도아리랑 등이 그 예인데, 민요라 하면 대개의 경우 이 창민요를 가리킨다. 민요 1, 2, 3 에서는 통속민요에 대한 전문적인 강의를 통하여 민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판소리 1, 2 (Pansori)
광대 한 사람이 고수(鼓手)의 북장단에 맞추어 서사적(敍事的)인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 발림을 곁들이며 구연하는 우리 고유의 민속악. 조선 숙종 말기에서 영조 초기에 걸쳐 충청도, 전라도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왔다. 판소리 1, 2 에서는 민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적인 성숙도(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수업이 이루어진다.
민속악 합주 1, 2 (Folklore Ensemble)
민속악은 민가에서 주로 연주하던 음악을 일컫는다. 시나위나 산조, 대풍류 등을 악기로 함께 연주하는 형태를 말한다. 기악으로 이루어진 전통 민속악 합주를 연마할 수 있는 교과목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강사로 초빙되어 최고의 교육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악 합주 1, 2 ( Classical Music Ensemble)
궁중에서 사용되었던 아정한 음악을 정악이라고 한다. 이 음악을 기악들이 함께 연주하는 음악 형태를 정악 합주라고 하는데 본 교과에서는 영산회상을 중심으로 정악 합주를 연습한다.
단소 실기 1, 2 (A Wind Instrument Training)
전통 악기 중 가장 기초적인 단소를 통하여 전통음악의 이해 및 정간보 독보력 숙지로 연주 및 지도가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 음악교과서에 나오는 노래곡(동요 민요), 영산회상, 단소독주곡(청성곡 등) 등을 단계적으로 배우고 훈련한다.
창작 타악 실기 1, 2 (Percussion Production)
전해져 내려오는 전통 타악기(꽹가리, 장구, 북, 징 모듬북 등)와 여러 나라에서 연주되는 타악기 그리고 새롭게 제작되는 개량 타악기를 통하여 기존의 리듬을 이용하여 새로운 리듬과 타악의 새로운 빛깔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실습한다.
장단 실기 1, 2, 3, 4 (Changgu Accompaniment Method)
전통음악 반주의 대표적 악기인 장구를 통한 반주법(정악장단, 기악반주, 민속장단)을 습득하여 실기에 응용함을 목표로 한다.
사물놀이 1, 2 (Samulnori(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북·장구·징·꽹과리의 네 민속타악기로 연주하는 음악을 사물놀이라고 한다. 사물놀이는 1978년 “김덕수패 사물놀이” 에 의해서 처음으로 세상에 소개되었으며, 그 후 점차 보급되어 지금은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사물놀이 과목에서는 한국 음악의 근간이 되는 풍물 장단 습득을 기본으로 풍물 장단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실제 연주를 통하여 연주자의 기량 향상을 도모한다.
국악 관현악 1, 2, 3, 4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창작 음악을 위주로 초견과 협연 및 합주의 훈련으로 연주자의 기량을 연마하고 새로운 창작곡의 해석 능력과 감각을 익힌다.
시창, 청음 1, 2 (Oral Training, Ear- Training)
현대의 음악을 이해하고 연주하기 위해서 서양에서 진행되어 오던 학습법 중의 하나인 시창과 청음을 훈련하고자 한다. 특히 청음은 모든 연주자들이 기본적으로 훈련받아야 하는 부분으로 정확한 음정을 내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코스라 할 수 있다.
리사이틀 1, 2, 3, 4 (Performance)
전공실기를 통해 습득한 개인의 실기를 무대연주를 통해 발표하는 과정을 관람 예절, 개인연습, 연주준비, 연주방법 등의 단계로 지도 점검함으로써 개인의 실기력 향상 및 무대경험을 쌓도록 지도한다.
국악 이론 1, 2 (Korean Music Survey)
국악이론의 체계적인 학습을 통하여 전문인으로서 필요한 기초 이론을 습득 율명, 기보법, 선법, 악조, 장단, 형식 (또는 서양음악이론과 비교) 등의 악식론과 악기론 및 감상법에 대한 이해 및 숙지한다.
민속무용 1, 2 (Folk Dance)
본 과의 특성상 악, 가, 무를 통합적으로 지도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전통음악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민속무용이다. 따라서 기초적인 민속무용 습득을 통하여 전통음악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 악, 가, 무를 겸비한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전공 실기 1, 2, 3, 4 (Major lessons)
정악에서부터 창작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실습하는 과정에서 우수한 실기전문인으로서의 자질을 양성한다.
한국음악사 1, 2 (Korean Traditional Music History)
역사 속에 나타난 음악적 사실과 문헌을 통하여 오늘날의 문화와 비교 이해하며, 점차 변모해가는 현대 예술문화의 사적인 측면을 보는 눈을 넓힌다.